정책지원

이걸 몰랐다면 전세 사기 당합니다… 정부가 돈까지 대신 내준다?

으따시님 2025. 5. 20. 23:18
반응형

✅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제도

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과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가입한 무주택 임차인에게 보증료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.



✅ 지원 대상

 

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무주택 임차인이 대상입니다:

 

1. 보증 가입: 보증 효력이 유효한 전세보증금반환보증(HUG, HF, SGI)에 가입

 

2. 임차보증금: 3억 원 이하

 

3. 연소득 요건:

 

- 청년(만 19~39세): 5천만 원 이하
- 청년 외: 6천만 원 이하
- 신혼부부: 7,500만 원 이하

 

4. 주거지: 해당 지자체 거주



✅ 지원 제외 대상

 

• 주택 소유자(분양권, 입주권 포함)
• 외국인 또는 해외거주 재외국민
• 등록임대사업자의 주택 거주자
• 법인 임차인
• 지자체장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한 경우



✅ 지원 내용

 

청년 및 신혼부부: 보증료 전액 지원 (최대 40만 원)
청년 외 일반인: 보증료의 90% 지원 (최대 40만 원)

*2025년 3월 31일 이전 가입자는 최대 30만 원 한도



✅ 신청 방법

 

신청 기간: 연중 상시 (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)

 

신청 방법:
- 온라인: 정부24 또는 안심전세포털
- 오프라인: 시·군·구청 또는 주민센터 방문



✅ 제출 서류

 

• 신청서 및 서약서
• 전세보증금반환보증서
• 보증료 납부증명서
• 임대차계약서
• 부동산등기부등본
• 주민등록등본
• 혼인관계증명서(해당 시)
• 소득금액증명원
• 통장사본



✅ 지급 절차

 

1. 신청 접수 → 2. 지자체 심사 → 3. 결과 통보 (30일 이내) → 4. 계좌 입금



✅ 문의처

 

• 국토교통부 ☎ 1599-0001
• 해당 지역 시·군·구청 또는 주민센터
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