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사

2026년 최저임금

으따시님 2025. 7. 22. 07:42
반응형

💸 2026년 최저임금 결정! 인상률·쟁점·변화 총정리

 

🪙 2026년 최저임금 얼마인가요?

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. 전년 대비 2.9% 인상된 수치이며, 주 40시간 기준 월 환산액은 2,156,880원입니다.

이번 결정은 무려 17년 만에 노·사·공익위원 전원 합의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.

📈 최근 인상률 흐름은?

  • ▶ 최근 5년 평균 인상률: 약 3.1%
  • ▶ 역대 전체 평균: 약 8.7%
  • ▶ 2026년 인상률: 2.9%로 비교적 낮은 수준

이는 경기 둔화, 고용시장 안정화, 중소기업 부담 고려 등 복합 요인이 반영된 결과입니다.

⚖️ 어떻게 결정되었나?

공익위원단이 제시한 ‘심의촉진 구간’(10,210원~10,440원)을 기준으로, 노사가 절충안을 수용해 10,320원으로 확정했습니다.

물가상승률, 생산성 증가율, 영세사업자 부담, 근로자 생계비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한 결정입니다.

🔥 주요 쟁점 정리

  1. 노사 전원합의: 2007년 이후 첫 사례
  2. 차등 적용 요구: 사용자 측은 업종·지역별 적용 주장
  3. 공익위원 구조 개편 논의: 위원회 규모 축소 및 독립성 강화 검토
  4. 적용 확대: 노동계는 플랫폼·특수고용직 적용 확대 요구

🏭 기업 반응은?

울산상공회의소 조사 결과:

  • 📉 42.7% 기업: “인건비 상승으로 고용 축소 우려”
  • 🗣️ 53.6% 기업: “현재 수준도 이미 부담스러움”

따라서 정부는 영세 자영업자 보호를 위한 보완책으로 사회보험료 지원, 고용장려금 확대, 임금보전 예산 등을 추진 중입니다.

📅 결정 및 시행 일정 요약

단계 일정
심의 요청 2025년 3월 31일까지
위원회 심의 2025년 6~7월
고시 2025년 8월 중
시행 2026년 1월 1일

🔚 최저임금, 단순한 숫자 이상

2026년 최저임금은 단순한 시급이 아닌 사회 전체의 경제 신호입니다. 적정한 수준에서 근로자 보호와 사업자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이번 결정은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앞으로도 정부는 물가연동제 도입, 심의절차 투명화, 영세사업자 지원 등 후속 제도 개선을 본격 추진할 예정입니다.

※ 출처: 정부24, 다음 뉴스, Tistory 정책 리포트

반응형